노마드톡 476 나는 오늘도 겨자씨를 심는다 > 노마드이야기

본문 바로가기


노마드 이야기

QR CODE
   
노마드톡 476 나는 오늘도 겨자씨를 심는다

내가 언제나 갖고 있는 희망과 믿음이 있다면 겨자씨에 대한 믿음이다. 겨자씨 하나가 땅에 떨어져 겨자나무가 된다면? 겨자나무가 많은 역할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세상을 구원하는 방주가 될 수도 있다. 그래서 겨자씨를 보면서 겨자나무를 상상하는 것이 선교이고 그런 선교적 상상력을 갖고 있는 사람만이 진정한 선교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섬의 선교는 겨자씨를 심는 선교다. 그중 몽골학교는 특히 그렇다. 겨자씨와 같은 아이들을 통해 겨자나무를 상상하지 못한다면 결코 할 수 없는 사역이다. 그만큼 힘들고 고단하고 때로는 너무 고통스런 일이다. 나는 이주민 사역과 몽골학교 사역을 하면서 눈의 시력을 잃었고 치아 12개를 뽑아야 할 만큼 힘든 삶을 살고 있다.

하지만 겨자나무가 된다는 믿음과 희망이 있었기에 감당하고 긍정할 수 있었다. 믿음이란 그런 묘한 힘을 갖는다. 실제로 우리학교 아이들의 미래는 다르다. 많은 아이들이 우리학교를 졸업하고 매우 성공적인 인생을 살고 있으니 말이다.

지난해에 졸업한 아이들 중 몇몇은 유수한 우리나라 대학교에 입학을 하였는데 그중 한명은 고려대학교 심리학과에 입학하여 과대표가 되었다며 학교에 찾아와 자랑스럽게 이야기하기도 했다. 대학을 졸업한 아이들의 미래는 또 어떤가? 주몽한국대사관에 우리학교 출신 아이들이 이미 여럿 근무하고 있고, 한국국제협력단(KOICA), 경찰, 한국농업기술개발사업(KOPIA)센터에 우리학교 출신들이 근무하고 있다. 수년전에는 몽골재무부의 사무관이 된 아이가 찾아오기도 했다. 아마 그 아이는 지금쯤 더 높은 자리로 진급하였을 것이다.

나는 겨자나무가 되어가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계속 듣고 있다. 겨자씨가 자라 겨자나무가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몽골학교가 세워진지 24년이 되었다. 그 정도의 시간이 흘렀으니 그런 정도의 열매는 당연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내겐 더 큰 욕심이 있다. 우리아이들이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기여하는 소중한 겨자나무가 되는 것이다. 그 정도로 자라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더 자라나야 한다. 더 큰 사람이 되어야 한다. 그 날이 비로소 내 상상력이 현실이 되는 날이다. 오늘도 나는 작은 겨자씨 한 알을 심는다. 힘이 들지만 그래도 겨자씨를 심는다. 언젠가 겨자나무가 될 것이니 그 믿음으로 겨자씨를 심는다



hi
   


[04982]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로 1(광장동 401-17)
나섬공동체 대표전화 : 02-458-2981 사단법인 나섬공동체 대표자 유해근
COPYRIGHT © NASOM COMMUNITY. ALL RIGHTS RESERVED.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