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가져다준 엄청난 변화 중 하나는 예배와 교회에 대한 고정관념이 완전히 바뀌게 되었다는 것이다. 기존의 예배와 교회에 대한 관점은 코로나로 인하여 혁신적 파괴가 일어났으며, 그런 혁신적 변화는 코로나 이후 거스를 수 없는 거대한 흐름이 될 것이다. 주일 성수라는 기존의 가치는 이미 무너지고 말았다. 예배는 반드시 교회 안에서 그것도 건물이라는 공간 안에서 주어진 시간에 반드시 드려야 한다는 가치는 더 이상 강요할 수 없는 것이 되었다. 우리는 이미 온라인 예배를 드려도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교회 안에서 함께 모여 예배를 드리는 것이 매우 위험한 일이며 때로 그런 예배가 자칫 반사회적 행동이라는 오해를 낳게 된다는 것이 현실이 되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가 언제 마감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어쩌면 코로나 사태는 상시적으로 우리 곁에서 똬리를 틀고 공생할지도 모른다. 코로나뿐이겠는가? 코로나와 같은 감염 가능성이 있는 모든 바이러스가 출현한다면 우리는 또 예배를 멈추어야 하고 교회의 문을 닫아야 한다. 한 번의 예외는 계속되는 모든 위험에 그대로 이어진다. 교회가 이번처럼 예배를 온라인으로 드려도 된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이후에 이와 같은 상황이 온다면 그때도 그대로 적용될 것이다. 그것이 교회가 예배와 더불어 혁신적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논리다.
이제는 우리가 서 있는 그 자리가 교회다. 우리가 예배를 드리는 그곳이 예배당이다. 예배를 반드시 주일 아침에 교회에 가서 드려야 한다는 기존의 강박은 버려져야 할 과거의 패러다임이 되었다. 그것이 현실이다. 우리가 예배를 드릴 수 있다면 그 어떤 자리도 교회가 될 수 있다. 이미 그것은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 되었다. 코로나가 가져다 준 엄청난 변화다. 그러므로 교회는 공간이 아니며 예배당이라는 건축물이 아니다. 교회가 그것을 인정했고 우리는 그것에 동의하여야 한다. 만약 그 변화를 거부하려 한다면 그때부터 교회의 미래는 없다.
'창조적 파괴'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오스트리아 경제학자 슘페터가 한 말이다. 나는 그의 창조적 파괴 혹은 혁신적 파괴라는 말을 좋아한다. 세상은 창조적 파괴를 통하여 진화한다. 만약 그 창조적 파괴의 현실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그 조직은 살아남을 수 없다. 끊임없이 혁신하고 창조하는 몸부림이 미래의 생존 조건이다.
코로나는 그 창조적 파괴의 도구다. 하나님은 코로나를 통하여 한국교회의 변화를 견인하려 하시는 것일지도 모른다. 지금은 당장 아프고 힘들겠지만 코로나 사태를 통하여 교회가 더욱 강건해지고 성숙해지는 기회가 될지도 모른다. 특별히 교회는 예배와 교회라는 개념에 대하여 더욱 솔직해질 필요가 있다. 왜 예배를 주일 아침에 함께 모여 드려야 한다고 가르쳐 왔는가? 흩어져 있어도 예배는 예배가 된다. 예배는 하나님께 드리는 우리의 헌신이며 거룩한 행위다. 어디서 예배를 드리건 그것이 예배가 아니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어차피 예배는 드리는 사람과 받는 하나님의 관계에서만 해석되어질 수 있는 신앙적 행위이기 때문이다. 교회는 어렵게 될지 모르지만 교회가 이 고통을 솔직하고 정의롭게 극복할 수 있다면 소수가 남을지라도 교회는 더 강한 생명력을 소유하게 될 것이다. 지금 우리가 바라는 것은 코로나의 소멸 이전에 코로나를 통하여 맞이할 변화에 대한 통찰이며 결단이다.
나섬교회는 예산을 새로 짜기로 했다. 돈으로부터 자유로운 교회가 되어야 예배를 진정으로 드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솔직하게 예배는 헌금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말할 수 있을까? 예배는 헌금과 관계가 없다고 말하고 싶겠지만 내가 생각하기에 예배와 헌금은 깊은 함수관계가 있다. 그래서 우리 교회는 예산을 작고 여유롭게 새로 만들어야 할 것 같다. 헌금이라는 돈의 크기로부터 자유하고 예배를 예배답게 드리기 위하여 이제 예배는 우리가 있는 그곳에서도 얼마든지 드릴 수 있다고 가르쳐 줄 수 있기 위해서다. 교인수와 헌금 액수를 떠나 자유롭게 목회하며 살고 싶다. 이제 정말 자유로운 목사가 되고 싶다. 코로나가 나를 자유롭게 만들어 줄 선물일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