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마드톡 66 고비사막에서 길을 묻다 > 노마드이야기

본문 바로가기


노마드 이야기

   
노마드톡 66 고비사막에서 길을 묻다


고비사막에서 길을 묻다

필자가 몽골의 고비사막을 찾는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그중 하나는 고비에서 미래를 발견하고 혹은 새로운 삶을 결단하게 된다는 것이다. 고비라는 말은 그대로 '광야'라는 말이다. 고비라는 말이 우리에게도 있는데 아마 그 고비와 몽골의 고비는 분명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 고비에 가보면 그곳에는 아무 것도 없다. 그대로 황량한 광야와 모래사막이 전부다. 하늘과 끝없는 지평선, 그리고 어디서부터 불어오는지는 몰라도 바람에 젖어 풍겨오는 원초의 냄새가 전부다. 그 원초의 냄새는 허브향이다. 그러므로 태초의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실 때의 냄새는 허브가 분명한 것 같다. 
그리고 또 하나의 신비는 그 광야의 곳곳에서도 풀이 자라고 있다는 것인데 그 풀이 다름 아닌 ‘부추’라는 것이다. 필자가 2000년 처음으로 고비에 갔을 때 그 부추를 보고는 너무도 뜻밖의 발견이었으므로 놀랐던 기억이 난다.
끝없이 펼쳐진 초원에서 허브의 냄새를 맡으며 초원의 부추를 먹고 사는 양과 말이 우리 사람에게 얼마나 좋을까 생각한 적이 있다. 그래도 고비는 고비다. 그 땅은 광야이며 인간이 살아가기에는 너무도 척박한 땅이다. 마치 히브리인들이 걸었던 시내광야를 연상하게 하는 땅이 고비다. 필자가 1991년 이집트의 시내광야를 처음 찾았을 때의 그 처연함과 몽골의 고비에서 느끼는 그 당황스러움은 비슷한 것이었다. 광야에서는 방향을 제대로 잡을 수 없다. 좌표로 삼을만한 그 어떤 것이 없기도 하지만 갑자기 텅 빈 황량한 광야에서 느껴야 하는 그 두려움 때문에라도 사람들은 갈피를 잡지 못하는 것이리라.
채워질 수 없는 그 무한한 빈 공간에서 인간은 절대 공포를 느낀다. 필자가 1990년 노르웨이의 피요르드를 찾아갔을 때 돌아오는 기차를 놓치고 밤새 이름 모를 역사에서 마냥 기다려야했던 그 백야의 공포와 같은 공포스러움이다. 밤은 어두워야 하고 공간은 무언가로 채워져야 한다는 상식의 논리를 파괴한 그 황야의 빈 공간에서 느끼는 공포가 유대교와 이슬람교, 그리고 기독교의 시작이 되었다. 고비는 필자에게 언제나 물음을 던져준다. 그냥 빈 공간에 내몸을 맡기고 바람 부는 방향을 향하여 서서 물끄러미 먼 하늘과 맞닿아 있는 그 끝을 바라보면서 나는 스스로에게 “어디로 가야하는가, 지금 잘 가고 있는 것인가”를 묻는 습관이 생겼다.  
무섭고 두려운 땅이 고비지만 동시에 무언가 따뜻하고 안락한 어머니의 자궁 속처럼 그 땅은 필자를 '오라'고 손짓하는 땅이다. 마치 고향 같고 언젠가 와본 적이 있는 것 같은 착각을 하게 하는 땅이 고비다. 고비는 내게 원초의 느낌이며, 고향이고, 영적인 탯줄이 자란 땅일지도 모른다. 필자는 저 초원의 유목민들처럼 이 땅에서 태어났고, 그 고비의 바람을 맞으며 자랐는지도 모른다. 그것은 지금의 필자가 고비를 찾으면 하염없이 고비가 좋아지는 이유다. 고비에서 길을 묻는다. “어디로 가야 합니까?” 라는 물음은 필자가 고비에 가면 하는 똑같은 물음이다. 벌서 고비를 가본 지 몇 번이나 되었지만 아직도 고비를 생각하면 가슴이 설렌다. 그래서 그곳이 나의 영적 고향일 것이라는 느낌은 더욱 강렬하다.
고비에서 길을 찾고 싶다. 미래의 나섬과 몽골학교와 필자의 인생길이 어디일까를 묻고 와야겠다. 구름기둥과 불기둥을 보내주신 시내광야의 인도자이신 하나님의 그림자만이라도 발견하고 오는 여정이고 싶다.
여기 최승호 시인의 고비에 대한 시 한 구절을 소개한다. 고비에서는 고비를 넘어야 한다.
고비의 고비
                최 승 호 (1954~ )

고비에서는 고비를 넘어야 한다

뼈를 넘고 돌을 넘고 모래를 넘고

고개 드는 두려움을 넘어야 한다

고비에서는 고요를 넘어야 한다

땅의 고요 하늘의 고요 지평선의 고요를 넘고

텅 빈 말대가리가 내뿜는 고요를 넘어야 한다

고비에는 해골이 많다

그것은 방황하던 업덩어리들의 잔해

고비에서는 없는 길을 넘어야 하고

있는 길을 의심해야 한다

사막에서 펼치는 지도란

때로 모래가 흐르는 텅 빈 종이에 불과하다

길을 잃었다는 것

그것은 지금 고비 한복판에 들어와 있다는 것이다.

[이 게시물은 최고관리자님에 의해 2016-07-01 11:44:37 노마드톡에서 복사 됨] http://nasom16.cafe24.com/bbs/board.php?bo_table=B02&wr_id=326


hi
   


[04982]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로 1(광장동 401-17)
나섬공동체 대표전화 : 02-458-2981 사단법인 나섬공동체 대표자 유해근
COPYRIGHT © NASOM COMMUNITY. ALL RIGHTS RESERVED.